Windows as a Service 에 따른 Windows 10 Enterprise 에디션
Windows 10 출시와 또하나의 큰 변화는 Windows as a Service를 둘 수 있다.
현재까지 Microsoft 입장에서는 대규모? 형태의 새로운 Windows를 런칭하는 형태가 아닌 그때그때 바로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한다고 하였다.
단순하게 이야기하면, 스마트 폰에서 어느날? 갑자기 올라오는 펌웨어 또는 O/S 업데이트와 같이 특별하게 명명된 형태의 Windows가 출시 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.
그중에 Windows update에서는 다음과 같이 Windows 10 에디션에 따라 옵션이 다르게 나타나 있다.
역시 홈에디션은 따로 관리할 수 있는 옵션이 아니라는 것을 볼 수 있다. 바로 사용자는 Microsoft 통하여 최신의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최신의 상태로 업그레이드 하게 되며, 나머지 기업 및 교육 기관의 사용자의 경우는 내부의 시스템의 호환성이나 보안여부에 따라 가려서 Windows update를 받을 수 있도록 옵션 설정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.
Windows Update의 방법을 각각 간단한 그래프로 표현 한다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.
그래서 기업 사용자의 경우에 VLSC(Volume License Service Center)에서 Windows 10 이미지를 살표보면 여러 에디션 가운데 Windows 10 Enterprise LTSB라는 에디션을 보게 될것이다.
이 에디션은 Windows 10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기본 유니버셜 앱들이 없는 버전으로 O/S의 아주 기본적?인 기능만 포함시켜 Windows Update이나 관련 앱의 업데이트 동작이 최소화되게 했다고 할 수 있다.
[Windows 10 Enterprise LTSB 에디션]
[Windows 10 Enterprise 에디션]
그외 기술적으로 Deep dive가 필요한 경우라면, 다음과 아래 URL의 동영상을 추천한다.
Windows as a Service: What Does It Mean for Your Business?
https://channel9.msdn.com/Events/Ignite/2015/BRK2322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나 돌아갈래!" 윈도우 10에서 다시 윈도우 7로 돌아가는 방법 (0) | 2015.08.12 |
---|---|
'휴면계정 전환' '개인정보 파기' 이메일이 쏟아지는 이유는? (0) | 2015.08.12 |
Windows Web Server 2008 기능 (0) | 2015.08.03 |
마이크로소프트, 윈도우 10 ISO 파일 다운로드 제공 (0) | 2015.08.03 |
윈도우 10 업데이트 전, 자주 사용하는 SW 지원 여부 확인은 필수 (0) | 2015.08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