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업데이트 긴급 2건, 중요 7건
MS 사는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을 비롯해 2014년 8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를 발표했다. 이번에 발표된 보안업데이트는 긴급 2건, 중요 7건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.
[MS14-043] Windows Media Center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- 긴급
사용자가 Windows Media Center 리소스를 실행하는 특수하게 조작된 Microsoft Office 파일을 열 때 원격코드 실행을 허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△관련취약점
CSyncBasePlayer User-After-Free 취약점(CVE-2014-4060)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43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43
[MS14-044] SQL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- 중요
사용자가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를 Internet Explorer의 사용자 인스턴스에 주입하는 특수하게 조작된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 권한이 상승될 수 있다.
△관련취약점
SQL Master Data Services XSS 취약점(CVE-2014-1820)
SQL Server 스택 오버런 취약점(CVE-2014-4061)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44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44
[MS14-045]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- 중요
공격자가 시스템에 로그온해 특수하게 조작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권한 상승될 수 있다.
△관련취약점
Win32k 권한 상승 취약점(CVE-2014-0318)
글꼴 이중 페치 취약점(CVE-2014-1819)
Windows 커널 풀 할당 취약점(CVE-2014-4064)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45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45
[MS14-046] .NET Framework의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기능 우회 문제 - 중요
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보안 기능 우회할 수 있다.
△관련취약점
.NET ASLR 우회 취약점(CVE-2014-4062)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46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46
[MS14-047] LRPC의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기능 우회 문제 - 중요
보안기능 우회를 필요로 하는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이 있는 경우, 이번 취약점과 결합하면 보안기능을 우회할 수 있다.
△관련취약점
LRPC ASLR 우회 취약점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47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47
[MS14-048] OneNot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- 중요
취약한 OneNote 버전에서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파일을 열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다.
△관련취약점
OneNot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4-2815)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48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48
[MS14-049] Windows Installer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- 중요
공격자가 이전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복구하려고 하는 특수하게 조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권한 상승을 허용할 수 있다.
△관련취약점
Windows Installer 복구 취약점(CVE-2014-1814)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49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49
[MS14-050] Microsoft SharePoint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- 중요
이번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인증된 공격자는 현재 SharePoint 사이트의 사용자 컨텍스트에서 임의의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해 특수하게 조작된 앱을 사용할 수 있다.
△관련취약점
SharePoint 페이지 콘텐츠 취약점(CVE-2014-2816)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50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50
[MS14-051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- 긴급
사용자는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해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다.
△관련취약점
Internet Exploer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4-2774, CVE-2014-2784, CVE-2014-2796, CVE-2014-2808, CVE-2014-0810, CVE-2014-2811, CVE-2014-2818, CVE-2014-2820, CVE-2014-2821, CVE-2014-2822, CVE-2014-2823, CVE-2014-2824, CVE-2014-2825, CVE-2014-2826, CVE-2014-2827, CVE-2014-4050, CVE-2014-4051, CVE-2014-4052, CVE-2014-4055, CVE-2014-4056, CVE-2014-4057, CVE-2014-4058, CVE-2014-4063, CVE-2014-4067)
△참조사이트
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4-051
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4-051
이에 사용자들은 각 참조사이트를 확인하고 취약한 시스템 사용자는 MS 사의 보안패치를 적용해야 한다.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dows 8.1 Defender 에러코드 0x800705b4 해결방법 (0) | 2014.08.20 |
---|---|
"Everything" - Windows 파일 및 폴더 무료 검색 엔진 (0) | 2014.08.19 |
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신규 취약점 발견 (0) | 2014.08.19 |
Windows 2012 R2 클러스터링 라이센스의 변화 (0) | 2014.08.19 |
Windows 2003 종료 안내 및 Microsoft 지원기간 체크 (0) | 2014.08.19 |
댓글